한국의 무기징역 vs 미국의 20년 형량: 불법 공매도, 어디가 더 무서울까?

반응형

2023년 11월, 한국 국회는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불법 공매도에 최대 무기징역을 부과할 수 있게 됐다. 이는 기존 1년 이하 징역에서 180배 강화된 조치로, 전 세계에서 가장 가혹한 수준이다. 하지만 다른 나라들은 어떤 처벌을 내릴까? 글로벌 금융시장의 처벌 현황을 비교 분석했다.


home-office-1867761_1280.jpg

1. 한국: 이제 공매도는 '중범죄'다

  • 기존: 1년 이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 벌금
  • 개정 후:
    • 부당이득 50억 원 이상무기징역 또는 부당이득의 3~5배 벌금
    • 5억~50억 원5년 이상 징역 + 부당이득 2~4배 벌금
  • 적용 시기: 2024년 1월 1일부터

이번 개정은 "공매도=시장 조작"이라는 인식 아래, 투자자 신뢰 회복을 위해 추진됐다.


2. 미국: 20년 형량 + 천문학적 벌금

  • 법적 근거: 증권거래위원회(SEC) 규정
  • 처벌:
    • 징역: 최대 20년
    • 벌금: 500만 달러(약 68억 원) 또는 부당이득의 10배 중 높은 금액
  • 대표 사례: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공매도 남용한 헤지펀드 매니저 스티븐 코언18억 달러(약 2.4조 원) 벌금

미국은 집단소송 제도가 활성화되어, 피해 투자자들이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.


3. 유럽: 국가별 처벌 차이 극심

  • 프랑스:
    • 벌금: 1억 유로(약 1,450억 원) 또는 법인 이익의 10배
    • 행정조치: 영업정지, 공매도 금지
  • 네덜란드:
    • 벌금: 200만 유로(약 290억 원)
    • 징역: 2년 이하
  • 영국: 벌금 상한 없음 → 재량에 따라 무제한 부과

EU는 MiFID II 규정으로 공매도 투명성을 강조하지만, 처벌은 각국에 맡긴다.


4. 아시아: 일본은 관대, 홍콩은 엄격

  • 일본:
    • 벌금: 30만 엔(약 280만 원)
    • 징역: 없음
    • 특징: 규정 위반 시 과태료만 부과해 실효성 논란
  • 홍콩:
    • 벌금: 10만 홍콩 달러(약 1,700만 원)
    • 징역: 최대 2년
    • 증권사 책임: 위반 시 5만 홍콩 달러 벌금

5. 호주·캐나다: 중간 정도의 제재

  • 호주:
    • 초범: 477만 원 벌금 또는 6개월 징역
    • 재범: 2년 징역
  • 캐나다:
    • 벌금: 500만 캐나다 달러(약 490억 원)
    • 징역: 10년 이하

6. 분석: 처벌 강화가 시장 안정화로 이어질까?

  • 긍정적 효과:
    • 투명성 제고 → 외국인 투자 유입 증가
    • 소액 투자자 보호 강화로 주식시장 활성화
  • 우려점:
    • 과도한 규제로 인한 시장 유동성 감소
    • 기관 투자자의 공매도 활용도 하락 → 가격 발견 기능 약화

 

한국의 무기징역 도입은 전 세계적으로 이례적인 조치다. 하지만 실제 효과를 거두려면 엄격한 법 집행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다. 미국·EU의 고액 벌금 체계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.

"과연 무기징역이 시장을 구할 수 있을까, 아니면 금융 혁신을 가로막는 족쇄가 될까?"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