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연말정산 배워보기

연말정산 근로소득금액 구하기: 핵심 절세팁

반응형

 

연말정산에서 근로소득금액을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. 이를 통해 세액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팁도 함께 제시합니다.

근로소득금액 계산 공식:

근로소득금액은 총급여액에서 근로소득공제를 뺀 값으로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.

근로소득금액 = 총급여액 - 근로소득공제

계산사례:

총급여액이 3380만원 경우, 근로소득금액은?

근로소득금액 : 2,348만원
2,348만원 = 3,380만원(총급여액) − 1,032만원(근로소득공제)

근로소득공제 계산 공식:

※ 근로소득공제 : 1,032만원
1,032만원 = 750만원 + (총급여액 3,380만원 − 1,500만원) × 15%

 

절세 Tip:

  1. 근로소득금액은 기부금 세액공제,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출자 등 소득공제의 한도액 계산 기준으로 활용하세요.
  2. 일용근로자가 3월 이상 계속 동일 고용주에게 고용되는 경우, 3월 이상이 되는 달부터 일반근로자로 간주됩니다.

유의 Tip:

  1. 일용근로자는 근로를 제공한 날 또는 시간의 성과에 따라 근로대가를 계산합니다.
  2. 가정주부가 고용관계 없이 부업으로 제공하는 용역의 경우 일용근로자의 급여로 간주됩니다.

추가 Tip:

  1. 건설공사 종사자나 하역작업 종사자의 경우, 1년 이상 동일 고용주에게 고용되거나 감독 업무를 하는 경우는 일용근로자가 아닙니다.

이러한 공식과 팁을 활용하여 연말정산 시 근로소득금액을 정확히 계산하고 세액 절감의 혜택을 누려보세요. 세무 전문가와 상의하여 더욱 효율적인 세액 절감을 이루어낼 수 있습니다.

 

2023.12.24 - [연말정산 배워보기] - 연말정산 근로소득공제 알아보기: 절세 팁과 주의사항

2023.12.24 - [연말정산 배워보기] - 연말정산 총급여액 구하기

 

반응형